표준작업 관리

Abstract
표준시간은 실 작업 시간인 정미시간과 작업에 불가피한 여유시간 합으로 계산된다. 정미시간은 관측시간에 레이팅을 반영하여 계산하고 여유시간은 일반여유, 특수여유, 장려여유를 고혀한다. 표준이란 이익 또는 편의가 공정하게 얻어지도록 통일, 단순화를 목적으로 규정을 결정하는 것이고, 표준화는 표준을 설정하고 이것을 활용하는 조직적 행위를 의미한다.
Keywords

표준시간, 여유시간, 레이팅, 표준, 표준화

기출: 121-4-4, 127-2-2, 130-2-5

표준시간

표준시간(ST, standard time)이란

  • 표준 작업환경에서
  • 표준 작업방법으로
  • 숙련된 작업자가
  • 보통의 노력으로
  • 성실하게 작업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말한다.

표준시간은 정미작업시간(NT, normal time)과 여유시간(AT, allowance time)으로 구성된다.

정미(작업)시간레이팅(rating 또는 normalizing, 정상화)을 반영한다. 여기서 레이팅이란 관측대상 작업속도와 정상적인 속도를 비교, 판단하여 관측시간치를 수정하는 것이다. 레이팅은 시간분석자 자격요건 일환으로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다.

\[ 표준시간(ST) = 정미시간(NT) + 여유시간(AT) = 관측시간 \times (1+레이팅) + 여유시간 \tag{14.1}\]

표준시간

표준시간이란, 숙련된 작업자가 정상적인 작업 조건하에서 정해진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합리적인 시간을 의미한다. 작업 계획, 스케줄링, 원가계산, 인원배치, 성과 평가 등 생산관리의 기준으로 활용되며 측정된 순작업 시간에 여러 보정 요소(여유율 등)를 고려하여 산정한다.

표준시간의 구성

구성 요소 설명
순수작업시간 (Normal Time) 실제 측정된 작업시간 × 성능평가 계수
여유시간 (Allowance Time) 휴식, 지연, 피로 등을 고려한 시간
표준시간 (Standard Time) 순수작업시간 + 여유시간

표준시간 = 순수작업시간 × (1 + 여유율)

표준시간의 목적

목적 설명
생산 계획 수립 작업량 및 인력, 설비 필요 시간 산정
스케줄링 생산 흐름 최적화 및 납기 계획
원가 계산 작업별 인건비 및 제조원가 추정
성과 관리 작업자 평가 및 인센티브 기준 설정
생산성 분석 생산 효율성과 병목 원인 파악

표준시간 측정 방법

방법 설명 특징
시간 연구 (Time Study) 스톱워치를 이용한 반복 관찰 가장 널리 사용, 숙련 작업자 필요
작업 표준화 분석법 (PMTS) 동작 단위를 기준으로 시간 합산 미세 동작 분석 가능, 정밀도 높음
작업 샘플링 (Work Sampling) 무작위 관찰로 작업 비율 추정 대량 데이터에 유리, 간접작업 측정에 적합
경험치, 데이터베이스 활용 과거 자료나 ERP 기준시간 사용 보정 필요, 빠른 산정 가능

여유시간의 종류

유형 설명
필요(일반) 여유 피로 회복, 생리적 필요 등
지연(특수) 여유 기계 고장, 재료 지연 등
기타 여유 작업 환경 변화, 보완 활동 등

예시 계산

작업자가 반복 작업을 수행하며 평균 작업시간은 6분, 성능평가 계수는 1.1, 여유율은 15%라고 가정하면:

  • 순수작업시간 = 6분 × 1.1 = 6.6분
  • 표준시간 = 6.6분 × (1 + 0.15) = 7.59분

활용 사례

활용 분야 활용 방식
생산 계획 표준시간 기준 생산량/설비 계획 수립
작업자 배치 인력 수요 계산 및 라인 밸런싱
성과 평가 작업자 생산성 평가 및 보상 기준
공정 개선 병목 공정 분석 및 Takt Time 조정
원가 계산 공임 계산, 표준 제조원가 산정 등

주의사항 및 유의점

  • 작업자 숙련도, 환경 변화에 따라 지속적 보정 필요
  • 여유율은 작업 종류별로 차등 적용해야 함
  • 표준작업방법이 먼저 정의되어야 신뢰성 있는 표준시간 설정 가능
  • 작업표준서(SOP)와 연계 관리가 중요함
기출: 127-1-13

레이팅

레이팅(Rating)이란, 작업자가 수행한 실제 작업 속도를 정상적인 작업 속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성능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는 순수작업시간(Normal Time)을 산정할 때 반드시 필요한 보정 계수이다.

순수작업시간 = 실제 측정 시간 × 레이팅 계수 (Performance Rating Factor)


레이팅의 필요성

항목 설명
작업 속도 차이 보정 개인의 숙련도, 피로도, 자세 등으로 인한 시간 차이 보정
표준화된 기준 확보 공정하고 일관된 작업시간 산정을 위함
인센티브 및 성과 평가 능력 수준에 따른 보상 체계 형성
정확한 표준시간 산출 계획, 배치, 원가에 영향을 주는 핵심 변수

주요 레이팅 방식

방식 설명 특징
Westinghouse System 능력, 노력, 상태, 일관성 4개 항목을 평가 가장 체계적, 교육 필요
Synthetic Rating 동작 시간 데이터와 성능 기준 데이터베이스 비교 자료 기반 접근, 객관성 높음
Objective Rating 노력 수준 × 속도계수로 평가 시간연구와 분리 가능, 독립적
Speed Rating (속도비교법) 숙련 작업자의 표준 속도(100%) 기준 상대 속도 평가 가장 보편적, 주관성 개입 우려
Standard Performance Rating 시간연구원 기준 숙련자 속도를 100으로 두고 평가 일반적인 기준 시간 설정

레이팅 계수 예시

실제 작업 속도 레이팅 계수
매우 느림 (80%) 0.80
느림 (90%) 0.90
정상 (100%) 1.00
빠름 (110%) 1.10
매우 빠름 (120%) 1.20

작업시간 산정 예시

실제 측정 시간: 5.5분
평가된 레이팅: 110%

  • 순수작업시간 = 5.5분 × 1.10 = 6.05분
  • (이후 여유율 15% 적용 시)
  • 표준시간 = 6.05분 × (1 + 0.15) = 6.96분

레이팅 수행 시 유의사항

항목 설명
숙련도 기준 ’정상적인 숙련된 작업자’의 속도를 기준으로 삼아야 함
평가자 일관성 확보 동일한 기준과 관찰력을 유지해야 함
주관성 최소화 기준 영상, DB, 동시 평가로 편차 축소
동작별 분할 평가 전체 작업이 아닌 세부 동작별 레이팅 적용 가능
표준작업법 확보 표준 동작이 없으면 레이팅 신뢰도 하락

flowchart TB

00["레이팅 기법"]
10["평준화법"]
11["Westinghouse법"]
20["속도 레이팅<br>(주관적 평가법)"]
30["객관적 레이팅"]
40["합성 레이팅"]
50["노력 평가법"]
60["SAM 레이팅 필름"]

00 --- 10 & 11 & 20 & 30 & 40 & 50 & 60

주요 레이팅 방식

평준화법

평준화법(Normalization Method)은 시간연구(Time Study) 시 작업자의 실제 작업 속도를 정상적인 기준 속도(표준 속도)에 맞춰 조정(보정)하는 방식이다. 즉, 실제 측정된 작업 시간에 레이팅 계수를 곱하여 ‘정상적’ 작업자가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시간으로 환산하는 기법이다.

핵심 목적: 작업자의 능력 차이를 제거하고 공정한 시간 기준을 설정하기 위함

개념 공식

순수작업시간 (Normal Time) = 실제 시간 × 레이팅 계수

  • 실제 시간이 빠르면 레이팅 계수는 1보다 크고,
  • 느리면 레이팅 계수는 1보다 작다.
절차 요약
단계 내용
① 측정 작업자의 실제 작업 시간을 스톱워치로 측정
② 평가 관찰자가 작업자의 수행 속도를 기준 속도(100%)와 비교하여 레이팅 결정
③ 보정 실제 시간에 레이팅 계수를 곱하여 정상 작업 기준 시간(순수작업시간) 도출
예시
  • 측정 시간: 4.8분
  • 작업자의 수행 속도는 기준보다 빠르다고 평가되어 레이팅 120% 적용
  • 순수작업시간 = 4.8분 × 1.20 = 5.76분

이 순수작업시간에 여유율을 반영하면 표준시간이 된다.

장점 및 특징
장점 설명
작업자 숙련도 차이 제거 공정하고 비교 가능한 작업 시간 도출 가능
표준 기준 확립 모든 시간 데이터가 동일한 기준(100%)으로 환산됨
시간연구와 연계 쉬움 스톱워치 기반 시간연구와 함께 자주 사용됨
한계 및 주의점
항목 설명
주관성 개입 위험 관찰자의 숙련도와 편향에 따라 레이팅 편차 발생 가능
관찰자 간 일관성 필요 동일 작업이라도 평가자마다 다른 보정이 적용될 수 있음
표준 작업 정의 전제 필요 기준 작업 속도가 명확하지 않으면 기준이 불명확해짐
정량적 기준 부족 정성적 평가가 주이므로 시스템화/자동화가 어려움
평준화법 vs 웨스팅하우스법 비교
구분 평준화법 (Normalization) 웨스팅하우스법 (Westinghouse System)
평가 요소 수행 속도 1가지 능력, 노력, 상태, 일관성의 4가지
평가 방식 직관적 속도 비교 요소별 평가값 합산
적용 방식 스톱워치 시간에 보정계수 곱 요소별 등급 매긴 후 합산하여 보정
장점 단순, 신속 세밀한 평가 가능
단점 주관성 큼, 정밀도 낮음 복잡, 교육 필요

Westinghouse법

웨스팅하우스법(Westinghouse System)은 작업자의 수행 능력을 4가지 항목(능력, 노력, 작업 조건, 일관성)으로 분리하여 정성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레이팅 계수를 결정하는 종합 레이팅 기법이다.

목적: 작업자의 실제 수행 속도를 정상 숙련자 기준(100%)과 비교해 표준화된 시간 산정을 가능하게 함

평가 요소

웨스팅하우스법은 다음 4가지 평가 항목을 사용하여 작업자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요소 정의 평가 기준
Skill (능력) 신체 및 정신적 숙련도, 작업을 잘 수행하는 능력 훈련 정도, 기술적 정확성
Effort (노력) 작업자가 얼마나 열심히 집중하고 있는지 집중도, 작업 의욕
Conditions (조건) 작업 환경과 도구 상태 온도, 조도, 공구 성능, 소음 등
Consistency (일관성) 작업 수행의 안정성과 반복성 수행의 변동성, 리듬 유지
평가 등급 예시

각 항목에 대해 기준값(100%)을 중심으로 평가 등급을 부여한다. 평가는 일반적으로 다음 범위로 진행된다.

평가 수준 보정값 (예시)
매우 우수 +6 ~ +10
우수 +3 ~ +5
보통 (기준) 0
미흡 -3 ~ -5
매우 미흡 -6 ~ -10

→ 4개 항목의 평가값을 모두 더한 후, 총합을 기준값(100)에 더하여 최종 레이팅을 산정한다.

예: Skill +5, Effort +5, Conditions 0, Consistency +2 → 레이팅 = 100 + 12 = 112%

적용 절차
단계 설명
① 실제 시간 측정 스톱워치 등으로 작업자의 실제 작업시간 측정
② 4요소 평가 Skill, Effort, Conditions, Consistency 항목별 평가
③ 평가값 합산 각 항목 보정값을 합산하여 레이팅 산출
④ 순수작업시간 산정 순수작업시간 = 실제 시간 × 레이팅 계수
⑤ 표준시간 산정 순수작업시간에 여유율 적용하여 최종 표준시간 결정
예시

실제 작업 시간: 4.5분
평가 결과:
- Skill +5
- Effort +4
- Conditions +2
- Consistency +1
→ 총 보정: +12 → 레이팅 112%

  • 순수작업시간 = 4.5분 × 1.12 = 5.04분
  • 여유율 15% 적용 시 표준시간 = 5.04분 × (1 + 0.15) = 5.8분
장단점
항목 장점 단점
정확성 다면적 평가로 보다 공정한 판단 가능 주관성이 개입될 여지 있음
체계성 평가 기준이 항목별로 분명하게 제시됨 평가자 숙련도에 따라 편차 발생 가능
활용성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용 가능 복잡하고 시간 소요 큼
다른 레이팅 기법과의 비교
구분 웨스팅하우스법 평준화법 (Normalization)
평가 요소 Skill, Effort, Condition, Consistency 속도 1개
평가 방식 정성적, 항목별 직관적 속도 비교
정확도 높음 낮음
주관성 상대적으로 적음 상대적으로 큼
소요 시간 길다 짧다
적용 추천 정밀 작업, 고위험 공정 일반적인 작업 시간 추정

속도 레이팅

객관적 레이팅

합성 레이팅

노력 평가법

SAM 레이팅 필름

구체적인 레이팅 기법은 다음과 같다.

평준화(leveling)법 또는 Westing house법
  • 평준화 요소인 숙련도, 노력도, 작업조건, 일치성에 대한 평준화 계수 계산한 후 정미시간에 반영 \[정미시간 = 관측시간 대표치 \times (1+평준화계수합) \tag{14.2}\]
Westinghouse 레이팅 계수(Westinghouse Rating Factor)를 구하기 위한 작업수행도 평가항목

Westing house 레이팅 계수(Westinghouse Rating Factor)는 작업자의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의 네 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한다.

Westing house 레이팅 계수 산정을 위한 평가 항목
평가 항목 설명
숙련도(Skill) 작업자가 작업을 얼마나 능숙하게 수행하는지를 평가함. 작업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판단함
노력도(Effort) 작업자가 작업 수행에 기울이는 집중도와 성실성을 평가함. 작업 속도 및 생산성을 반영함
작업조건(Conditions) 작업 환경이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 예: 조명, 소음, 온도 등 작업 환경 요소
일치성(Consistency) 작업자가 작업을 얼마나 일정하고 반복적으로 수행하는지를 평가함. 작업 속도의 안정성과 변동성을 포함함
평준화법을 이용한 작업시간 산출

관측시간 대표치가 0.5분이고, 평준화 등급이 아래와 같이 계산되었을 때 정미시간을 계산하시오.

숙련도 노력도 작업조건 일치성
B C C C
0.08 0.02 0.02 0.01

정미시간 산식(수식 14.1)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정미시간(NT) = 관측시간 대표치 \times (1 + 평준화계수합) = 0.5 \times (1 + 0.13) = 0.565 \]

속도레이팅(speed rating, 주관적 평가법)
  • 속도레이팅을 수행도 평가법(performance rating)이라고도 하며, 이 방법은 작업환경과 작업조건, 그리고 작업방법이 일정하다면 수행도는 작업능력과 작업의욕에 따라 변화게 된다는 가정에 기초를 둠
  • 작업 수행도 기준을 100%으로 한다면 변동요인(능력, 의욕 등)에 따라 수행도 평가치를 120%로 할 때 평가계수는 (120/100)을 사용하여 관측시간을 수정함 \[NT = 관측시간 대표치 \times \frac{평가치}{기준수행도} \tag{14.3}\]
객관적 레이팅(objective rating)법
  • M.E. Mundel이 발표한 것으로 제1평가(작업속도)와 제2평가(작업 곤란성)를 고려하여 정미시간을 계산하는 방식 \[NT = P \times S \times O \tag{14.4}\]
    • P는 속도평가 계수
    • S는 2차 조정계수(작업시간 증가분을 100분율로 표시)
    • O는 관측시간 평균치 또는 대표치
합성레이팅(synthetic rating)법
  • 작업을 요소작업으로 구분한 후 요소별 관측시간을 산출(O)
  • 요소작업 중 임의 작업자 요소작업을 몇개 선정함
  • 선정된 요소작업에 대해 PTS법으로 분석하여 시간치(F)를 계산
  • 실제관측치(O)와 PTS에 의한 시간치(F) 간 비율 \(P = \frac{F}{O}\)이나 비율 평균치를 레이팅 계수로 구한 후 다른 요소작업에 적용
노력평가(effort rating)법
  • 동작속도 외에 작업 곤란성, 작업자 숙련도와 노력도, 작업조건 등을 고려하여 작업 페이스를 직접 레이팅 하는 방법
SAM 레이팅 필름
  • 시간연구자 레이팅 훈련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SAM(society for advancement of management) 레이팅 필름에 의한 공정한 1일 작업량을 선정하는 방법
기출: 115-2-4

여유시간

여유시간작업에 있어서 불가피한 시간을 의미한다. 작업자 휴식 또는 작업 중 여러가지 원인으로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표준시간 설정 시 적당한 여유를 주어야 하는데 이에 해당하는 시간이 여유시간이다.

flowchart LR

00["여유"]

subgraph s2[특수여유]
direction LR
02["특수여유"]
21["기계간섭여유"]
22["조여유"]
23["소로트여유"]
24["긴사이클여유"]
end

subgraph s3[장려여유]
direction LR
03["장려여유"]
end

subgraph s1[일반여유]
direction LR
01["일반여유"]
11["개인여유(용무여유)"]
12["피로여유"]
13["작업여유"]
14["관리여유(직장여유)"]
end


02 --- 21 & 22 & 23 & 24
01 --- 11 & 12 & 13 & 14
00 --- 01 & 02 & 03

일반여유
  • 어떤 작업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감안해 주는 기본적인 여유
  • 개인여유: 인적여유, 용무 여유, 생리여유로서 일반적으로 2~5%(남자 5%, 여자 7%)
  • 피로여유: 일반적으로 중노동 20~30%, 경노동 5~10%로 피로 발생은 작업강도, 환경, 육체적 근육노동, 정신적 건강에 기인함
  • 작업여유: 3~5% 부여, 작업여유는 재료취급시간, 불량공구 연마 및 교환, 기계수리, 조정, 주유, 청소 등 불규칙적으로 발생되는 여유
  • 관리여유: 3~5% 부여, 작업 중 발생하는 작업상 업무연락, 협의, 짧은 시간 작업 대기 등에 해당
특수여유
  • 작업 특수성이나 작업편성 등 특별한 사정으로 인하여 표준시간 개개 작업에 적용할 경우에 특별히 고려할 필요가 있는 여유
  • 기계간섭여유: 1명 작업자가 2대 이상 기계를 조작할 경우 기계 간섭이 발생함으로써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을 반영하기 위한 여유
  • 조여유: 작업자가 조를 이루어 작업을 실시할 때 발생하는 작업지연 보상
  • 소로트여유: 로트수가 작기 때문에 정상작업속도가 유지곤란한 경우 보상
  • 긴사이클여유: 사이클이 길기 때문에 작업 변동이나 복잡성을 보상하기 위한 여유
  • 기타 여유: 3~5% 부여
장려여유
  • 임금지급제도와 관계되는 정책적인 여유로 능률제도와 같은 장려제도 실시 시 할증급 비율을 표준시간에 포함시키기 위한 계수

여유율 계산

여유율은 외경법과 내경법으로 구분하여 계산할 수 있다.

외경법
  • 정미시간에 대한 비율을 여유율로 사용함 \[여유율(A) = (여유시간/정미시간)\times100 = (AT/NT)\times100(\%) \tag{14.5}\]
내경법
  • 실동시간에 대한 비율을 여유율로 사용함 \[여유율(A) = (여유시간/실동시간)\times 100 \] \[= \frac{여유시간}{(정미시간+여유시간)}\times100 = \frac{AT}{NT+AT}\times100(\%) \tag{14.6}\]
내경법과 외경법

다음 자료는 작업자의 작업을 10회 측정한 실측값이다. 내경법과 외경법으로 표준시간을 구하시오.(단, 레이팅계수는 0.85, 여유율은 25.0%이다.)

  • 10회 측정값(분):2.54, 2.57, 2.60, 2.59, 2.62, 2.63, 2.65, 2.66, 2.63, 2.60

내경법, 외경법 계산을 위한 평균관측치와 정미시간을 계산한다.

평균관측치
= (2.54 + 2.57 + … + 2.60)/10 = 2.61(분)
정미시간
= 평균관측치 x 레이팅 계수 = 2.61 x 0.85 = 2.22(분)
외경법(수식 14.5 참고)
표준시간 = \(정미시간 \times (1+여유율) = 2.22 \times (1+0.25) = 2.77\)(분)
내경법(수식 14.6 참고)
표준시간 = \(정미시간 \times(\frac{1}{1-여유율}) = 2.22 \times (\frac{1}{1-0.25}) = 2.96\)(분)
기출: 109-3-1

표준과 표준화

표준과 표준화
출처 표준 표준화
KS A 3001~2 관계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익 또는 편리가 공정하게 얻어지도록 통일, 단순화를 목적으로 물체, 성능, 능력, 배치, 상태, 동작, 절차, 방법, 수속, 책임, 의무, 권한, 사고 방법, 개념에 대한 규정을 결정 표준을 설정하고 이것을 활용하는 조직적 행위(일반적으로 문장, 그림, 표표, 견본 등 구체적인 표현 형식으로 표시)
ISO/STACO 개개의 표준화 노력의 성과로써 어떤 공익된 단체에 의해 승인된 것 관계되는 모든 사람의 편익을 목적으로 하는 특정한 활동을 향해 바르게 접근하기 위한 규칙을 작성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
ISO/IEC Guide 2 일반인이 입수할 수 있는 시방서나 그 밖의 문서로서, 이것에 의해 영향을 받는 모든 이해관계 당사자들 간의 협력과 합의 또는 전체적으로 승인을 얻어 시작되는 것으로 최적의 사회 이익을 촉진하며 표준화 단체에 의해 승인받은 것 과확, 공업기술 및 경제분야에 있어서 문제를 되풀이해서 적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부여하는 활동

설립주체에 따른 분류

표준은 설립 주체에 따라 사실상 표준과 공적 표준으로 구분된다.

공적표준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표준회의(IEC), 국제전기통합연합(ITU) 등 국제 기관이 제정하는 표준
사실상 표준
관습, 관례, 제품이나 체계가 시장이나 일반 대중에게 독점적 지위를 가짐으로써 생성된 표준
구분 사실상 표준 (de facto standards) 공적 표준 (de jure standards)
주체 시장(공급자, 사용자 및 민간 협력업체) 표준화 기관(정부기관, 국가 내 자발적 표준 제정 기관)
정의 시장 형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표준 표준화 기관에 의해 제정된 표준
특징 • 책정 과정 속도가 신속
• 표준 보급과 제품 보급이 동시에 이루어짐
• 표준 단일화는 시장에서의 경쟁에 위임됨
• 규격을 표준화하는 주체가 시장을 독점할 수 있음
• 책정 과정이 투명하고 규정 내용이 명확하며 개방적임
• 원칙적으로 단일 표준을 제공함
• 멤버십이 비교적 개방적임
단점 • 정보공개가 불완전
• 기술정보 미공개로 인해 복수 방식 비교가 곤란, 개발 기업에 의한 경쟁 장벽이 생겨 후발 기업이 불리한 위치에 처함
• 멤버십이 폐쇄적이기 쉬움
• 개정 절차가 불투명함
• 표준 개발 속도가 느림
• 표준 보급과 제품 보급에 시간 격차가 존재
• 기술에 대한 무임승차가 발생
정통성 사업자 및 사용자가 선택한 결과 표준화 기관 권위의 결과
표준화 열쇠 시장 도입기 점유율, 유력 기업 참가, 계열 기업 수, 소프트 파워 표준화 기관 강제력, 참여 기업 수, 유력 기업 참여

표준 역활

표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1. 상호 이해 촉진
    • 관계자 의사소통에 사용하는 수단을 표준으로 정해 사호 이해 촉진
  2. 다양성 조정
    • 다양한 요구를 전반적으로 소용하기에는 엄청난 소비와 무질서 존재
    • 사회 다양성과 무질서화를 줄이고 예방
  3. 호환성/인터페이스 확보
    • 호환성: 형체가 있는 물체에 대해서 언급
    • 인터페이스: 무형의 소프트웨어에서 사용
  4. 사용목적 적합성 확보
    • 소비자 측: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일정 수준 품질 내지 성능
    • 생산자 측: 생산 공급할 목표 내지 보증 수단을 정하는 것
    • 제 3자 인증: KS마크, ISO 9000
  5. 사용자 및 소비자 이익 보호
    • 표준이 사회경제 내지 일상 생활을 도모
    • 생산자와 소비자 쌍방에 공평하게 이익
    • 양자 대립 시 소비자 이익이 우선
  6. 안전 확보와 환경 보호
    •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 제조
    • 부주의나 오동작 시 사고 예방할 수 있도록 Fail Safe내지 Fool Proof설계
    • 미국 경우, 손해보험업자 연구소(UL, Underwriters’ Laboratory) UL 규칙에 일치되어야판매할 수 있도록 규정

표준화

표준화(Standardization)는 사물에 합리적인 기준(standard)을 설정하고 다수 사람이 어떤 사물에 그 기준을 맞추는 것으로 표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여 활용하는 조직적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표준화 목적(ISO/STACO)
  1. 안전, 건강 및 생명 보호
  2. 단순화 - 제품, 인간 생활에서의 행위
  3. 관계자 간 의사소통
  4. 전체적인 경제
  5. 무역 장벽 제거
표준화 원리
  • 표준화(standardization): 표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여 활용하는 조직적 행위
  • 단순화(simplification)
  • 전문화(specialization): 경제적, 능률적인 생산 및 공급체계를 갖추는 것

표준화 시 다음과 같은 긍정/부정 효과가 있다(ISO/STACO).

표준화시 긍정효과와 부정효과
긍정효과 부정효과
• 호환성이 가져오는 네트워크 외부 효과 • 최신 과학기술이 반영되지 못하고 앞으로의 과학 기술에 적용 방해
• 표준화 수확 체증 효과 • 다양성 감소
• 규모의 경제를 가능하게 하고 판매 경쟁을 가속화시키며 신기술 개발을 촉진 (첨단 기술 분야 신기술 개발을 통한 사실상 표준을 획득하기 위한 노력)하여 매출 증대로 이어짐 • 비호환적인 신기술 개발 주저
• 생산비용 및 학습비용 감소 • 기술혁신 둔화
• 탐색비용과 측정비용 감소
• 표준화의 공공재적 성격

참고자료

기출: 97-1-9

표준시간 관련 용어

투입시간(부하시간)
  • 조업시간에 회사가 규정하는 법정 휴지시간을 제외하고설비가 실제 가동하도록 정의된 시간
가동시간
  • 부하시간에서 정지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설비가 제조(작업)활동을 위해 실제 가동한 시간
  • 가동시간 = 부하시간 - 정미시간
정미가동시간
  • 설비가 주어진 기능과 성능을 발휘하여 제품 생산에 기여한 시간
  • 정미가동시간 = 가동시간 - 순간정지시간 = 완성수량 x 실제 사이클 타입
표준생산(량) 공수
  • 제품 1개를 만들기 위한 표준작업시간과 생산량을 곱하여 계산되는 것으로, 정해진 방법과 작업 속도로 작업했는지를 판단하는 공수
  • \(\sum(표준작업시간 \times 생산량)\)
사이클 타임 (Cycle time)
  • 제품이나 부품 1단위가 공정에서 작업을 시작해서 완료되기까지 연속 경과된 사간을 의미하며, 제품이나 부품 등이 가공되는 대상물 관점에서 보는 시간
피치 타임 (Pitch time)
  • 최종 공정으로부터 완성품이 되어 나오는 시간적 간격, 즉, 1일 생산목표량을 달성하기 위한 제품 단위당 소요 제작 시간
리드 타임 ( Lead time)
  • 재료 입고에서부터 완성품 출하(납품)에 이르기까지 시간
  • 설계/개발 리드 타임, 부품 조달 리드 타임, 생산 리드 타임, 출하 리드 타임
정미시간
  • 대상작업의 기본적 내용으로 규칙적,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 부분의 시간으로, 순수하게 작업에만 사용된 시간
여유시간
  • 대상작업의 필요한 내용으로 불규칙적,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시간
표준시간
  • 적당한(부과된 작업량을 올바르게 수행) 숙련도를 지닌 작업자가 주어진 작업 조건 하에서 보통 작업 속도와 정상적인 피로와 지연을 수반하면서 규정된 질과 양의 작업을 규정된 방법에 따라 1단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