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계획

Keywords

설비종합효율, OEE, 설비투자, MAPI

기출: 97-3-2, 109-3-5, 127-3-3

설비종합효율

설비종합효율(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OEE)은 실행 예정 기간 동안 제조 작업이 최대 잠재력과 비교하여 얼마나 잘 활용되는지(시설, 시간 및 재료)를 측정한 값이다. 이는 실제로 생산적인 제조 시간 비율을 식별한다. 100% OEE는 최대 속도(100% 성능)로 중단 없이(100% 가용성) 좋은 부품만 생산(100% 품질)한다는 의미이다. 1

관련 용어

조업시간 (time available, calendar time)
  • 1일 근무시간을 기초로 하루 시업 시간과 종업 시간 사이 총시간으로 휴식, 식사, 수주물량 부족 등 계획 정지시간을 포함
부하시간 (planned runtime)
  • 조업시간에 기업이 인정하는 식사시간, 휴식시간을 제외하고 설비가 실제 가동되어야 할 시간 \[부하시간 = 조업시간 - 계획정지시간 \tag{16.1}\]
가동시간 (production time)
  • 설비 부하시간에서 정지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설비가 실제 가동한 시간
  • 정지시간이란 비계획적으로 설비가 일정시간(예 5분) 이상 가동하지 않는 시간 \[가동시간 = 부하시간 - 정지시간 \tag{16.2}\]
실가동시간 (net production time)
  • 설비가 현재 성능으로 얼마나 제품 생산에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시간 \[실가동시간 = 생산량 \times 실제 cycle time \tag{16.3}\]
성능가동시간 (usable production time)
  • 설비 도입 시 표준 성능으로 얼마나 제품을 생산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시간 \[성능가동시간 = 생산량 \times 이론 cycle time \tag{16.4}\]
가치가동시간 (net productive time)
  • 설비 도입 시 성능으로 얼마나 양품을 생산했는지를 나타내는 시간 \[가치가동시간 = 양품수 \times 이론 cycle time \tag{16.5}\]

설비종합효율 계산

설비종합효율(OEE, Overall Equipmnet Effectiveness)은 기업에서 규정한 부하시간 중 설비 고유 성능을 가지고 부가가치를 만들어 낸 시간 비율을 뜻한다.

\[설비종합설비 = 시간 \ 가동률 \times 성능 \times 가동률 \ 양품률 \tag{16.6}\]

시간가동률
  • 부하시간 중 설비 고장정지, 기종변경, 자재 품절, 유실 시간 등을 제외한 가동시간과 부하시간 간 비율로 설비가 정지 없이 가돋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시간가동률 = \frac{부하시간 - 정지시간}{부하시간} \times 100 \tag{16.7}\]
정미가동률
  • 실제 생산 시간 대비 가동시간 비율
    \[정미가동률 = \frac{생산량 \times 실제 cycle time}{부하시간 - 정지시간} \times 100 \tag{16.8}\]
속도가동률
  • 이론 cycle time 대비 실제 cycle time 비율
    \[속도가동률 = \frac{이론 cycle time}{실제 cycle time} \times 100 \tag{16.9}\]
성능가동률
  • 가동시간 중 설비 목표 성능을 바뤼한 시간 비율
    \[성능가동률 = \frac{생산량 \times 이론 cycle time}{가동시간} \times 100 \tag{16.10}\] \[성능가동률 = 정미가동률 \times 속도가동률 = \frac{생산량 \times 실제 cycle time}{부하시간 - 정지시간} \times \frac{이론 cycle time}{실제 cycle time} \tag{16.11}\]
양품률
  • 전체 생산 수량에서 양품 비율
    \[양품률 = \frac{생산수량 - 불량수량}{생산수량} \times 100 \tag{16.12}\]
예제
내용 집계결과
부하시간 5700분
고장정지시간 100분
고장발생건수 3회
준비교체시간 390분
총생산량 4250개
부적합(불량)품수 250개
이론속도/개 1.0분/개
실제속도/개 1.2분/개

설비종합효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시간가동률 = \frac{부하시간 - 정지시간}{부하시간} \times 100 = \frac{5700 - (100 + 390)}{5700} \times 100 = 91.4(\%)\)

\(정미가동률 = \frac{생산량 \times 실제 cycle time}{부하시간 - 정지시간} \times 100 = \frac{4250 \times 1.2}{5700 - 100 - 390} \times 100 = 97.9(\%)\)

\(속도가동률 = \frac{이론 cycle time}{실제 cycle time} \times 100 = \frac{1.0}{1.2} \times 100 = 83.3(\%)\)

\(성능가동률 = \frac{생산량 \times 이론 cycle time}{부하시간-정지시간} \times 100 = \frac{4250 \times 1}{5700 - (100 + 390)} \times 100 = 81.6(\%)\)

\(양품률 = \frac{총생산량-불량품수}{총생산량} \times 100 = \frac{4250-250}{4250} \times 100 = 94.1(\%)\)

따라서 종합설비효율은 다음과 같다.

\[OEE = 시간가동률 \times 성능가동률 \times 양품률 = 91.4 \times 81.6 \times 94.1 = 70.2(\%)\]

설비종합효율

프레스 가공업체의 프레스 설비에 대하여 1주간의 설비가동현황은 다음과 같다.

  • 근무시간:500분
  • 계획 휴지시간:50분
  • 고장, 준비에 의한 고장시간:50분
  • 이론 Cycle 시간:0.5분/개
  • 실제 cycle 시간:0.8분/개
  • 총생산량:400개
  • 불량품:10개

시간가동률은 실제로 가동한 시간과 이론적으로 가동할 수 있는 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 \text{시간가동률} = \frac{\text{실제 가동시간}}{\text{이론적 가동시간}} \times 100 \]

  • 실제 가동시간 = 근무시간 - 계획 휴지시간 - 고장 및 준비 시간
    • 실제 가동시간 = 500분 - 50분 - 50분 = 400분
  • 이론적 가동시간 = 근무시간 - 계획 휴지시간
    • 이론적 가동시간 = 500분 - 50분 = 450분

따라서, 시간가동률은:

\[ \text{시간가동률} = \frac{400}{450} \times 100 = 88.89\% \]

성능가동률은 실제 생산속도와 이론적인 생산속도의 비율을 의미한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 \text{성능가동률} = \frac{\text{이론 생산량}}{\text{실제 생산량}} \times 100 \]

  • 이론 생산량 = 실제 가동시간 ÷ 이론 Cycle 시간
    • 이론 생산량 = 400분 ÷ 0.5분/개 = 800개
  • 실제 생산량 = 400개

따라서, 성능가동률은:

\[ \text{성능가동률} = \frac{800}{400} \times 100 = 50\% \]

따라서
  • 시간가동률 = 88.89%
  • 성능가동률 = 50%

설비종합효율은 양품률을 반영하여 계산한다.

\[ \text{OEE} = \text{시간가동률} \times \text{성능가동률} \times \text{품질가동률} \]

품질가동률은 생산한 제품 중에서 불량품을 제외한 품질 좋은 제품의 비율을 의미하며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 \text{품질가동률} = \frac{\text{양품}}{\text{총 생산량}} \times 100 \]

  • 양품 = 총 생산량 - 불량품
    • 양품 = 400개 - 10개 = 390개
  • 총 생산량 = 400개

따라서, 품질가동률은:

\[ \text{품질가동률} = \frac{390}{400} \times 100 = 97.5\% \]

이제 각 요소를 종합하여 OEE를 계산할 수 있다.

\[ \text{OEE} = 88.89\% \times 50\% \times 97.5\% = 43.4\% \]

설비 종합효율(OEE)은 43.4%이다.

기출: 106-3-3
설비 수량 계산
구분 표준작업시간 효율 신뢰도
공정1 4분 93% 95%
공정2 5분 95% 90%
문제1
1일 8시간, 1주 5일간 작업하여 주당 2,000개 제품을 생산하려 한다. 표를 참고하여 생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필요한 공정 1과 공정 2에 대한 기계대수를 각각 구하시오.
문제2
제품 A는 공정 1과 공정 2를 거쳐 생산되며, 공정 1 불량률은 5%, 공정 2 불량률은 3%이다. 양품 1,000개 생산을 목표로 할 때 공정 1에대한 원자재 투입량을 구하시오.
문제3
제품 A에 대한 공정 1 공정비용은 개당 1,000원, 공정 2 공정비용은 개당 2,000원이다. 공정 2를 거친 완성품은 전수검사를 하며 완성품 검사비용은 개당 100원이다. 공정 1과 공정 2 사이 공정간 검사비용은 80원인 경우, 공정 간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한지 판단하시오.

문제1
  • 기계능력 = 유효가동시간 x 기계대수 = 가동일수 x 1일 가동시간 x 가동률 x 기계대수
  • 공정1 \[ 기계대수 = \frac{2000개 \times 4분}{5일/주 8시간/일 \times 60분/시간 \times (.093 \times 0.95) = 3.8대} \]
  • 공정2 \[ 기계대수 = \frac{2000개 \times 5분}{5일/주 8시간/일 \times 60분/시간 \times (.095 \times 0.90) = 4.9대} \]

따라서, 공정1은 4대, 공정2는 5대 기계설비가 필요하다.

문제2
  • 원자재 투입량 x (0.95 x 0.97) = 1000(개)

따라서 양품 1,000개를 생산하기 위한 원자재 투입량은 1,086개이다.

문제3
  • 공정별 Lot 크기
    • 원자재 투입량 1086 -> 공정1 불량률 5% 시 1032 -> 공정2 불량률 3% 시 1000
  • 전수검사 시 비용: 366,000(원)
    • 전수검사 비용: 1086 x 100 = 108,600
    • 불량 생산 비용: 86 x (1,000 + 2,000) = 258,000
  • 공정검사 시 비용: 308,080(원)
    • 공정1 검사 비용: 1,086 x 80 = 86,880
    • 공정2 검사 비용: 1032 x 100 = 103,200
    • 불량 생산 비용 = (54 x 1,000) + (32 x 2000) = 118,000

따라서 공정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전수검사를 실시하는 것보다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MAPI

MAPI(Machinery and Allied Products Institute) 방식은 설비 교체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기존 설비를 유지하는 것이 더 경제적인지 또는 새로운 설비로 교체하는 것이 더 유리한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최적의 설비 교체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MAPI 방식의 주요 개념
  1. 연간 총 비용 비교
    기존 설비 유지 비용(수리, 유지보수, 에너지 소비, 가동 중단 비용)과 신규 설비 도입 비용(구매, 설치, 운영 비용)을 비교
  1. 경제적 수명 분석
    설비의 경제적 수명을 계산하여 운영 비용이 증가하는 시점을 분석

  2. 손익분기점 분석
    기존 설비를 유지할 때의 총 비용과 신설비 도입 후 절감되는 비용이 언제 균형을 이루는지(BEP, Break-even Point) 분석

  3. 감가상각 및 세금 효과 고려
    신설비의 감가상각 비용과 세금 혜택을 반영하여 경제적 효과를 평가

  4. 생산성 향상 효과 분석
    신설비가 기존 설비 대비 생산성을 얼마나 증가시키는지 평가

구 MAPI 방식 vs. 신 MAPI 방식
비교 항목 구 MAPI 방식 신 MAPI 방식
비용 분석 방식 연간 총 비용 비교 연간 총 비용 + 미래 기대 비용 고려
경제적 수명 분석 기존 설비의 평균 수명만 고려 생산성 변화, 감가상각, 유지보수 증가율까지 반영
손익분기점 계산 단순한 비용 균형 분석 시간 가치(TVM, Time Value of Money) 적용
감가상각 고려 여부 일부 반영 완전 반영하여 세금 혜택 분석 가능
의사 결정 기준 유지비용과 교체비용 단순 비교 생산성 향상 효과와 장기적인 비용 절감까지 고려
신 MAPI 방식의 장점
  • 미래 비용까지 고려한 정밀 분석 가능
  • 시간 가치(TVM)를 적용하여 보다 현실적인 교체 시점 도출
  • 감가상각과 세금 혜택을 포함한 종합적인 경제성 평가 가능
  • 설비의 유지보수 증가율과 생산성 변화를 반영하여 최적의 교체 타이밍 결정

신 MAPI 방식은 기존 방식보다 보다 종합적이고 정밀한 분석을 통해 최적의 설비 교체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자료

기출 103-1-5

효율성과 효과성

효율성(efficiency)
  • 최소한 자원으로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생산성 측면에서 산출(output)이 목표라면 최소한 투입(input)으로 산출을 빨리 이루어내는 것을 효율적이라 한다.
효과성(effectiveness)
  • 목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부분을 잘 해내는 것으로, 생산성 측면에서 산출(output)이 목표라면 투입(input)에 상관없이 산출을 이루어내면 그것을 효과적이라 한다.
효과성 (Effectiveness) 효율성 (Efficiency)
목표 달성 생산성, 경제성
올바른 일을 하는 것 일을 올바르게 하는 것
do the right things do the things right
방향 방법
목표 달성 정도 투입 대비 산출

투입 → 변환 → 산출 과정에서 투입 대비 산출에 관한 것이 효율성이고, 산촐에 대한 목표 달성 정도를 효과성이라 한다. 즉 효율성은 자원 활용도에 관한 것이고 효과성은 목표 달성도 내지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낸다.


각주


  1. https://ko.wikipedia.org/wiki/설비종합효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