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및 유틸리티 관리

Keywords

시설, 유틸리티

시설 및 유틸리티 관리

생산현장에서의 시설(Facility)유틸리티(Utility)는 생산활동을 지원하고 유지하는 기반 인프라로,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는 제품 품질, 생산성, 에너지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시설 및 유틸리티 관리에 있어 주요 대상은 다음과 같다.

주요 관리 대상
구분 세부 항목 설명
생산시설 건물, 공정 설비, 자동화 설비 생산라인과 직접 관련된 고정 자산
보조설비 창고, 운반설비, 보전기기 생산 지원 및 내부 물류 기능 수행
유틸리티 전기, 공기, 스팀, 냉각수, 가스 등 생산을 위한 에너지 및 공정 보조 자원
환경설비 집진기, 폐수처리장, 온습도 조절장치 등 작업 환경 및 법규 준수 관련 설비

시설 및 유틸리티 관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안정적 생산 지원: 설비 및 유틸리티의 중단 없는 공급
  • 에너지 효율 극대화: 유틸리티 운영 최적화 및 낭비 방지
  • 설비 가동률 향상: 계획적 유지보수 및 고장 최소화
  • 법적 요구사항 준수: 산업안전, 환경규제 대응
  • 총소유비용(TCO) 절감: 수명주기 관리를 통한 비용 최소화

관리 항목 및 활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설 및 유틸리티 관리 항목 및 활동
관리 분야 주요 활동 활용 기법
정기점검 주기적 검사, 부품 교체, 상태 진단 TPM, CBM, PM
에너지 관리 사용량 모니터링, 피크 절감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ISO 50001
유틸리티 공급 안정화 전력, 공기, 스팀의 연속성 확보 자동제어 시스템, 중복 공급 구조
설비 수명주기 관리 LCC 분석, 교체 주기 계획 Life Cycle Costing, 신/구 설비 ROI 비교
환경 및 안전관리 오염물 배출 관리, 작업 환경 개선 환경관리계획(EMP), KOSHA 지침

시설 및 유틸리티 관리에 있어 주요 KPI는 다음과 같다.

시설 및 주요 관리 지
지표명 설명
설비 가동률 (OEE)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설비 고장 건수 MTBF(평균 고장 간격), MTTR(평균 수리시간)
에너지 소비량 단위 제품당 전력/가스/스팀 사용량
유지보수 비용 월별/연간 유지보수 총비용
다운타임 시간 계획 외 정지 시간 총합

시설 및 유틸리티 관리는 최신 동향 및 기술 적용하여 지속 발전하고 있다.

  • 스마트 팩토리 기반 설비 모니터링 (IoT 센서, Edge AI 활용)
  •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 도입
  • 에너지 절감 기술: 고효율 모터, 인버터, 폐열 회수 시스템
  • 디지털 트윈 기반 설비 운영 시뮬레이션

참고자료

_EOD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