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wchart TB 0[기본원칙 5가지] 1[고객 우선 원칙] 2[기능 중심 원칙] 3[가치 향상 원칙] 4[창조에 의한 달성 원칙] 5[조직적인 노력 원칙] 0 --- 1 & 2 & 3 & 4 & 5
가치공학
Keywords
가치공학, VE, VA
VE 정의
VE(value engineering, 가치공학) 또는 VA(value analysis, 가치분석)은 GE사 마일스가 1947년 개발한 것으로, 필요한 기능을 최저 총 비용으로 확실히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 기능을 분석하는 것이다. 1
\[value = \frac{function + quality}{cost} \tag{28.1}\]
VE와 VA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과 가치분석(Value Analysis, VA)는 비용 절감과 효율성 증대를 목표로 하는 기법으로, 각각의 목적과 적용 시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분 | VE (Value Engineering) | VA (Value Analysis) |
---|---|---|
정의 | 제품의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비용을 절감하는 기법 | 제품이 생산된 후, 이미 존재하는 제품의 기능을 분석하여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는 기법 |
목표 | 비용 절감과 성능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 | 제품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 |
적용 시점 | 주로 제품 개발 단계, 설계 단계에서 적용 | 제품이 시장에 출시된 후, 또는 생산 중에 적용 |
주요 활동 | • 설계 변경 • 대체 재료나 기술 제안 • 불필요한 기능 제거 |
• 기존 제품 분석 • 비용 분석 • 기능 분석 및 개선 |
대상 | 제품의 설계 및 생산 과정에서 가치를 최적화하려는 모든 요소 | 기존 제품의 비용과 기능을 재검토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 |
방법론 | 기능 분석을 통해 설계 변경이나 개선을 이끌어내며, 비용 절감과 품질 향상을 동시에 추구 | 기능 분석을 통해 불필요한 비용을 제거하고 필수적인 기능만을 유지 |
구분 | VE(Value Engineering) | VA(Value Analysis) |
---|---|---|
적용 시점 | 제품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사전 적용 | 출시된 제품이나 기존 생산품에 사후 적용 |
목표 | 비용 절감과 성능 향상을 동시에 추구 | 기존 제품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비용 절감 |
적용 대상 | 설계 초기 단계부터 제품의 전체 설계 및 생산 과정 포함 | 이미 생산된 제품에 대한 비용 및 기능 분석을 통해 개선점 도출 |
VE는 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서 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기법이며, VA는 기존 제품에서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기능을 유지하는 기법이다. 두 기법 모두 비용 절감과 효율성 증대를 목표로 하지만, 적용 시점과 범위에서 차이가 있다.
VE 활동 기본원칙 5가지
-고객 우선 원칙
- 가치란 그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 측이 판단하는 것이다. - 항상 고객 입장에 서서 가치를 파악, 평가하고 가치 개선을 도모해야 한다. - 고객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완수하는 효과, 작용과 같은 것에 가치를 찾아 내어 가격을 지불하는 것이다. - 고객이 어떠한 가치판단 하에 어떠한 기능을 요구하고 있는가를 정확하게 파악하여야 한다. - 제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고객이 요구하고 있는 기능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항상 체크한다.
- 기능 중심 원칙
- 항상 기능에 입각해 연구 또는 분석하고 개선에 결부시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 물건과 달리 기능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서서 설계 구상을 하여 가치 개선을 하는 것이다.
- 기능에 입각해 연구 도는 분석한다는 것은 “원점 발상을 하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 대상 작용이나 목적을 명확하게 하고, 그 목적을 완수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 중에서 최선 방법을 선정한다.
- 가치 향상 원칙
- 필요한 기능을 잘 완수해 주는가를 판단한다.
- 기능을 완수하기 위해 지불해야 할 대가를 판단한다.
- 창조에 의한 달성 원칙
- 개선 및 향상한다는 것은 새로운 발상 하에 그 방법, 수단을 바꾸는 것이다.
- 기능 하나에 대해 그것을 실현하는 방식은 무한하다.
- 조직적인 노력 원칙
- 각 전문분야 지식을 결집한 문제해결을 추진한다.
- 어떠한 문제 해결에도 많은 전문지식이 필요하게 된다.
-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도 모든 전문지식에 정통한 사람은 없다.
- 솔직한 마음으로 다른 전문가에게 배워 자기를 성장시킨다.
- 만능이 되지 않고, 만인 힘을 활용한다.
VE 활동 전개프로세스와 단계별 주요 내용
flowchart LR 계획 --> 정보수집 --> 기능분석 --> 1["창조/개발"] --> 제안 --> 실시
단계 | 주요 목적 및 활동 | 세부 활동 내용 |
---|---|---|
계획 | VE 수행 대상 선정, 활동 방법 및 구성원 역할 설정, 목표 수립 | • VE 추진 테마 선정 및 활동팀 구성 • 원가절감 목표 설정 및 추진 일정 수립 • 활동 계획서 작성 및 R&R 정립 |
정보 수집 | 비용 유발 요인 분석 및 관련 데이터 수집 | • 제반 정보 수집 및 분석/검토 • 부문별 데이터 및 손실 분석 • Part List 작성 |
기능 분석 | 기능 정의 및 정량적 평가를 통해 개선 우선순위 도출 | • 부품별 기능 정의 • 기능 정리(기능계통도 작성) • 기능 평가(정량화 및 비용 대비 중요도 비율) • VE 우선순위 및 추진 방향 설정 |
창조/개발 | 목적 기능 달성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및 평가 | • 원가 절감 아이디어 발상 • 아이디어 개략 평가 • 개선안의 이점/결점 분석 • 아이디어 구체화 및 상세 평가 • 최적안 선택 |
제안 | 개선안을 관계자에게 제시하고 실행을 촉진 | • 결과보고서 작성 • 관련 부문 설득 및 이슈 사항 확인 • 고객 요구 품질 달성 여부 확인 • 예상 문제점 및 극복 방안 수립 |
실시 | 아이디어 실행 및 성과 관리 | • 실계 계획서 작성 • 아이디어 실행 • 사후 관리 • 성과 분석 및 목표 달성 여부 확인 |
참고자료
_EOD_